분류 전체보기944 [지리산일기]성장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5. 30. [지리산일기] 협의와 통보의 차이 일요일 자습시간 영화를 보겠다고 한다. 시험이 끝난 일요일이니 어떻게? 함께 정한 규칙에는 조항이 있는가? 교사들과 미리 협의하고 공지가 되었는가? 당직선생님의 한계? 1학년 교실 사용, 누구와 협의했는가? 통보와 협의의 차이 민주주의의 다수결에서 소수의 의견을 존중하고 챙겨야 하는 이유? 이 상황을 통해 학생들이 배워야 할 것은 무엇인가? 2021. 5. 24. [지리산일기] 지금의 선택들은...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5. 20. [지리산일기] 교사의 질문 1. 학교란 무엇인가? 2. 학생은 누구인가? 3. 교사란 누구인가? 4. 담임은 무슨 일을 하는가? 5. 우리는 왜 3월부터 매학년 새학기가 시작되는가? 6. 담임이 2~3월에 할 일은 무엇인가? 7. 학생 상담에서는 무엇을 물어야 하는가? 8. 학부모 상담은 어떻게 하는가? 9. 학교라는 공간을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가? 10. 학생의 일과, 일정은 어디까지 어떻게 관리해 줄 수 있는가? 11. 인성과 성적의 경계는 어디쯤인가? 12. 학교의 성과. '학생은 무엇을 배워가는가?' 13. 청소년의 성과 어른의 성 14. 이성 선생을 좋아하는 학생을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 15. 이성교제에 대한 생각들.... 16. 평가. 시험원안 출제와 성적처리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17. 수행평가. 언제 어디에서 어떻.. 2021. 5. 20. [지리산일기]삶의 태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5. 15. [맛집수행] 울산 북구 단골밥상 울산에서 먹은 밥들 중 한식으로는 손에 꼽는 곳이다. 물론 최고급 한정식집으로서의 한식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밥집으로서 이정도 맛을 내고 유지하는 곳을 이제는 찾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메뉴는 두 가지 밖에 없다. 두루치기와 된장찌개. 예전에는 들어온 사람 수만 알려주면 그날의 밥상이 나왔다. 사장님 내외가 하셨는데, 지금은 종업원들과 아들(?)이 같이 한다.굉장히 부드럽고 가벼운 느낌의 두루치기다. 불린 당면, 파와 버섯을 얹은 것 때문일까?밥상에 올라온 반찬들을 포장해서 판다. 먹어보면 사가고 싶을 정도의 맛을 유지하고 있다. 나도 4통 샀다. 1통에 3,000원이고 4통에 만원이다. [울산 단골밥상] 추천: ★★★★★ 영업시간 월~토 10:30~15:00 울산 북구 무룡로 39 (연암동) http:.. 2021. 5. 11. [맛집수행]울산 중구 찻집 '차담' 울산에 가면 찻집을 한 번씩 들른다. 동생이 잘 가는 찻집이 있다고 해서 함께 갔다. 나도 이런 공간을 갖고 싶다. 한쪽 벽은 책으로 맞은 편 벽은 차로 둘러싸여 그렇게 지내고 싶다. 여기서 직접 담거나 내린 차들을 이렇게 파는 것 같다. 인삼정과도 포장해서 판매한다. 차가 나오는데 동생이 단골이라서인지 사장님이 인삼정과를 하나씩 주신다. 먹어보니 쌉싸름하니 맛있다. 아직 여름이 아닌데 팥빙수를 주문하는 그대는... 구운 떡도 주셔서 차와 잘 먹었다. 밥을 먹은 게 아닌데 배가 부르다. [울산 중구 찻집 차담] 추천: ★★★★☆ 영업시간 11:00~23:00 주차장 없음.(중구 문화의 거리 공영주차장이 크게 있음) 울산 중구 문화의거리 24 (옥교동) http://kko.to/lvYdQWRDH 차담 울산.. 2021. 5. 10. [지리산일기]고3 수업 중 큰 일 3학년 언어(국어)영역 수업 중 큰 일은 다른 것이 아니다. 학생들 스스로 생각하는 것을 멈추는 것이다. 지문을 분석하고 문제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왜 그것이 답인지 설명해보라는 말을 했는데 학생들이 '모르겠다'라는 말로 생각을 멈추려한 적이 있었다. 당시 나는 식은땀이 났다. 이렇게 답을 찾는 과정을 멈추는 경험이 계속되면 공부가 멈춰버리기 때문이다. 공부에서 찾으려는 노력을 빼면 그것은 헛일이 된다. 지금 답을 몰라도 괜찮고 설명이 틀려도 괜찮다. 계속 끈질기게 찾아가는 습관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볼 때 더욱 필요하다. 2021. 5. 6. [지리산일기]동정연극과 허언 허언증은 자신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타인에게 거짓을 보이는 것이다. 그래서 관계상황이 끝나면 스스로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끼고, 그것을 되돌리려는 노력을 하거나 다시 그것을 반복하는 행동(!)을 하지 않으려 한다. 혹은 그것을 스스로 인정하기 위한 행동을 한다. 허언증을 하는 사람은 보통 친구들 사이에서 몇 번의 부정적 반응을 얻으면 허언증을 멈춘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의 자존심, 자존감이 계속 다치게 되기 때문이다. 동정연극을 하는 인간은 타인에게 불쌍함을 받기 위해 자존심과 자존감을 버린다. 그래서 자신이 동정심을 얻기 위해 타인을 이용하는 것을 거리끼지 않는다. 동정심을 얻기 위해서는 자신은 약한 존재, 피해자가 되어야 하므로 상황적으로 타인을 가해자로 만든다. 의도적이든 의도적인 것이 아니든 그것.. 2021. 5. 1.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