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극권연구 Teoría del Taichi/이론연구편 Teoría14

[이론연구편]태극권 8법 4우수四隅手 채열주고 '채採' 는 팔괘의 건괘乾卦에 속하고 괘상은 '천天(하늘)' 이다. 상징적인 방향은 서북쪽이고, 인체의 폐유혈肺兪穴에 해당하며, 양생학에서는 주로 대장경大腸經을 단련 한다. 건괘의 삼효三爻는 모두 陽이고 움직임이다. 즉 건괘의 삼효는 모두 實이다. '채採'의 동작은 방어를 공격으로 만드는 기법으로 손으로 잡는 것인데 흔히 점경粘勁과 함께 쓴다. '채採'의 동작은 건괘乾卦의 모양에 근거하여 손은 도구일뿐 인체의 상중하의 중심이 직선으로 되어 함께 돌고 움직이기 때문에 상체, 허리, 다리 모두 實에 해당된다. '採' belongs to the 乾卦 of the eight trigrams, and the trigram is '天'. The symbolic direction is northwest, and it.. 2023. 8. 21.
[이론연구편]태극권 8법 4정수四正手 붕리제안 '붕掤'은 팔괘의 감괘坎卦에 속하고 괘상은 '수水(물)'이다. 방향은 북쪽이고 인체의 회음혈會陰穴에 해당하며 양생학에서는 주로 (족소음)신경腎經을 단련한다. 감괘의 중효中爻는 양陽이자 움직임이며, 나머지는 음효陰爻이자 정지함이다. '붕掤'은 공격하는 방법으로서 바깥쪽으로 내미는 탄력적인 힘이다. 단순하게 미는 것이 아니라 공이 터질 때 바깥으로 향하는 힘처럼 온몸의 힘이 충만하여 합치는 힘이다. '붕掤'의 동작은 감괘의 모양에 근거하여 허리가 실實이고 상체와 하체는 허虛이다. '붕掤'을 사용할 때 주로 중간 허리의 힘으로 주도하여 동작이 단단해야 하고 충만한 힘으로 공격해야 하므로 양陽에 해당되고 위아래의 손과 다리의 동작이 원활해야 하니 음陰에 해당된다. 'Pengjing' belongs to the .. 2023. 8. 20.
[이론연구편]태극권 8법 기초 『주역周易』은 곤坤, 간艮, 감坎, 손巽, 진震, 리離 태兌, 건乾 의 8가지 괘로 세상의 구조를 정리한다. 괘에 대응하는 자연이나 현상은 지地(땅), 산山(뫼), 수水(물), 풍風(바람), 뇌雷(벼락), 화火(불), 택澤(호수), 천天(하늘) 등의 8가지로 자연의 순서와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태극권 십삼세의 팔법동작은 괘의 형태와 음양의 변화에 따라 인체를 어깨, 허리, 다리, 즉 괘상의 상효上爻, 중효中爻, 하효下爻 세 부분으로 분리한다. 괘卦에서 양효는 강함, 빠름, 움직임 등을 상징하고, 음효는 부드러움, 약함, 정지 등을 의미한다. Zhouyeok (周易) organizes the structure of the world with eight trigrams: Gon, Gan, Gam, Son,.. 2023. 8. 14.
[이론연구편] 장삼봉태극권론 한 번 거동하면 전신全身을 다 경령輕靈하게 해야하고, 반드시 관천貫串해야 하며, 기를 고탕氣意鼓盪해야 하고, 신을 내렴神意內斂해야 한다. 또한 결함缺陷이 있는 곳을 없게 해야 하고, 요철凹凸이 있는 곳을 없게 해야 하며, 단속斷續이 있는 곳을 없게 해야 한다. 그 뿌리는 발에 있고, 다리에서 발發하며, 허리에서 주재主宰하고 손가락에서 행하는데, 발로부터 다리와 허리까지 반드시 완정일기完整一氣하고 전진하거나 후퇴해야만 득기득세得機得勢할 수 있다. 만약 득기와 득세를 할 수 없는 곳이 있으면 몸이 곧 산란한데, 그 결함은 반드시 허리와 다리에서 찾아야 한다. 상하전후좌우의 육합六合 모두가 그러하다. 무릇 이 모두는 뜻이고 외면에 없는데, 위가 있으면 아래가 있고, 앞이 있으면 뒤가 있으며, 좌가 있으면 우가.. 2020. 5. 2.
[이론연구편] 권법이란 무엇인가? 사진: 위키미디어 권법이란 경력을 바르게 낼 수 있는 구조(동작)를 모아 그 법칙을 익히도록 만든 것이다. 물리적으로 사람의 몸이 낼 수 있는 힘의 분량과 방향은 한계가 있다. 그 힘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이 권법, 권가이다. 몸의 구조로써 바르게 힘을 내고, 동작을 통해 힘의 방향을 인도하는 것, 몸뿐 아니라 상대의 힘과 중력까지 사용하는 법이 권가의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진다. 이 공부를 하는 사람은 크게 익혀서 작게 쓰는 법을 알아야 한다. 무술은 처음에 살상기술이었지만 이후 육체와 정신의 건강을 위한 양생술이 되었다. 몸의 정기를 길러 일상에서의 반응속도와 균형, 힘을 향상시켜준다. 그래서 일을 할 때나 생활 중에 갑작스러운 일에 몸이 자연스레 반응할 수 있는 바탕을 만들어 준다. 위급시.. 2020. 2. 2.
[이론연구편] 경勁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어떻게 설명하는가? 사진: 위키미디어 일단 기본적인 경을 살펴보자. 사정수四正手(건곤감리乾坤坎離)는 붕리제안이고, 사우수四隅手(진손간태震巽艮兌)는 채열주고다. 붕掤경: 안에서 밖을 향해 나가는 변화. 내 중심을 지키고 상대의 중심을 무너뜨리는 동작이다. 모든 경은 붕경의 응용으로 붕경의 방향과 강약을 바꾸는 것이다. 결국 이 하나의 힘을 이루고 발전시키는 것(체와 용)이 모든 권식의 목적이다. 실제에서 사용하기까지 부단히 맞고 맞아야 한다. 리履경: 좌우상하로 나와 상대의 힘을 끌어 중심을 이동시키는 동작이다. 제擠경: 중심이 흩어진 상대를 두 손을 모아 밀어내는 동작이다. 안按경: 상대 힘의 방향을 다시 돌려 아래로 누르며 미는 동작이다. 사진: 위키미디어 채采경: 위, 아래, 좌, 우로 꺾는 동작이다. 잡아채는 것을 말.. 2020. 1. 26.
[이론연구편]힘이란 무엇인가? 사진: 위키피디아 물리학적인 힘의 정의는 'F=MA'이다. 물체에 작용하여 물체의 운동상태를 변화시키거나 물체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원인을 힘이라고 정의한다. 좀 더 쉽게 말하면 정지하고 있는 물체를 움직이고, 움직이고 있는 물체의 속도나 운동방향을 바꾸거나, 물체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리량을 말한다. 그래서 힘은 질량과 가속도에 비례한다. 중력重力, 전기력電氣力, 자기력磁氣力, 마찰력摩擦力, 탄성력彈性力 5가지 힘 모두가 그렇다. 사진: 위키피디아 운동역학에서도 힘의 세기와 방향은 일반물리학에서 정의하는 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통제상태가 아닌 자연상태기 때문에 그것이 항상 같은 조건에 같은 결과를 나타내기가 힘들 뿐이다. 덩치가 크거나 키가 크거나, 관절의 지렛대 역할을 할 팔다.. 2020. 1. 19.
[이론연구편] 구체적으로 어떻게 단련하는가? ¿Cómo practica específicamente? 중국 태극권의 다른 이름은 13세이다. 붕리제안掤履擠按 채열주고采捩肘靠 진퇴고반정進退顧盼定. 앞의 13가지 글자로 그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태극의 각 동작은 글자들을 하나 이상 표현하고 있다. 앞의 8글자는 몸을 움직여 경勁을 내는 요결이고 뒤의 5글자는 몸을 움직여 중심을 지키는 요결이다. 붕리제안은 4정수正手로 항상 연습하는 것이 좋아, 그에 대한 연신결로 ‘붕은 명문에 (힘이) 있고, 리는 대맥에 있고, 제는 척추에 있고, 안은 전중에 있다.’는 글이 전한다. 힘을 어떻게 쓰는지, 그것이 상대에게 어떤 움직임을 주는지 설명한다. 붕리제안 채열주고는 모두 경勁을 설명하는 것이다. 채열주고는 4우수隅手로 붕리제안과 함께 잡아채고, 가르고, 팔꿈치와 몸통 등 몸의 각부분들이 어떻게 ‘손.. 2020. 1. 12.
[이론연구편] 무엇을 단련하는 것인가? ¿Que practica? 당연히 몸을 단련하는 것이다. 몸을 단련하는 것은 머리를 단련하는 것과 다른 말이 아니다. 자기 몸의 경도와 연성, 탄력을 이해하고, 평소 낼 수 있는 힘과 순간적으로 낼 수 있는 힘의 정도를 이해하고, 몸이 취하는 동작의 정확도와 속도를 발달시켜가는 것이 몸을 단련하는 것이다. 일정 수준이 지나면 몸을 단련하는 것은 거의 제자리에 머무르게 된다. 다만 그 이후에는 뇌를 단련하는 것으로 몸의 가용범위가 늘어나고 인지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감각의 세밀함과 허와 실을 알게 된다. 바른 법을 배워서 꾸준히 행하는 것이 배움의 가장 큰 부분이라 하겠다. 양징보 선생의 연권십요練拳十要를 살펴보자. 허령정경虛靈頂勁, 함흉발배含胸拔背, 침견추주沈肩墜肘, 송요鬆腰, 허실분청虛實分淸, 용의불용력用意不用力, 상하상수上.. 2020.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