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극권연구 Teoría del Taichi387

[수련일기]온천지에 화기가 가득하다 수기와 화기가 가득해서 목기가 생할 때는 근육이 성장하고 지치지 않도록 수련한다. 피로는 간기에 영향을 주고 간의 목기가 상하면 힘을 낼 수 없다. 단편으로 화기를 제어하고 이어지는 제수, 고, 백학량시로 수기를 조절한다. 루슬요보, 진보반란추, 여봉사폐로 기운이 오르내리는 것을 바로잡는다. 십자수로 기운을 봉고하고 정신을 수렴한다. 내가 쇠약해서 사방에 수기가 가득할 때는 관절이 굳어가는지라... 차라리 이렇게 맑고 무더울 때가 낫다. 천천히 수련을 하면서 관절의 습을 조금씩 빼고 부드럽게 할 수 있어서 최근의 수련은 습기(수기)에 맞춰서 한다. 2020. 8. 21.
[수련일기] 홈트레이닝? 집 안에서 수련 람작미와 단편을 전후좌우로 반복하는 것 몸 안에서 열을 내는 것 2020. 8. 20.
[수련일기]원운동 유연공을 하고 태극권의 운수로 전사를 연습했다. 발뒤꿈치부터 손끝까지 힘을 전달하는 연습이다. 어떻게하면 원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꿀 수 있는가 그 반대는 어떻게 이룰 수 있는가 말이 아니라 몸으로 이룰 수 있어야한다. 2020. 8. 18.
[수련일기] 1학기 검도수업 끝 오늘로 1학기 1,2,3학년 검도가 끝났다. 끝나고나니 검을 가르친다는 부담이 덜어져 마음이 가볍다. 태풍과 장마 영향으로 몸상태가 최저를 달리고 있어서 다른 곳에 눈돌릴 여유가 없었다. 삐그덕 대는 몸을 움직여 틈날 때마다 걷고 되도록 찬 음식을 피하려고 했다. 최근 체중이 3킬로그램정도 빠졌기 때문에 전보다 조금 가볍기는 하지만 허리의 묵직함은 여전하다. 한 자리에서 할 수 있는 운수를 하며 몸을 풀었다. 척추관절의 마디마디와 고관절에 정신을 집중하며 운수를 했다. 날씨에 반응해 잔뜩 수축된 인대와 근육이 투둑대며 풀어진다. 오늘도 한 걸음이다. 2020. 8. 12.
[수련일기] 삼근계 마음이 느슨해질 때면 정약용이 제자 황상에게 써주었다는 삼근계를 읽는다. 15세의 황상이 정약용에게 자신이 둔하고 꽉 막히고 답답한 문제가 있다고 하자 스승 정약용이 답한다. 첫째, 민첩해서 빨리 외우는 것 둘째, 예리하게 글을 잘 짓는 것 셋째, 깨달음이 빠른 것 이 세가지에서 오는 폐단을 경계해야 한다고... 빨리 외워 머리만 믿고 빨리 넘어가 완전히 자기것으로 만들지 못하고, 핵심을 빨리 파악해 자기 재주를 이기지 못하고 들떠 날리는 가벼운 사람이 된다. 깨달음이 빠르면 금방 깨달으나 오래가지 못한다. 무근 일을 하든 마찬가지다. 다시 한 번 더 읽어 스스로에게 새긴다. 태풍이 지나는 길에 몸이 다시 삐그덕댔다. 다른 일에 집중해서 조금이나마 조이는 듯한 고통을 잊어보려고 했지만 그리 좋지는 않았다.. 2020. 8. 10.
[수련일기] 건강을 위한 태극권 하나가 좋으면 하나가 나쁘다. 음양이 교차한다는 것은 그런 것이다. 그래서 때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건강을 위한 수련으로 태극권을 공부한지 세월이 꽤 흘렀다. 하지만 근기가 부족해서인지 아직도 집중하지 않으면 손발이 어지럽고 상하전후좌우의 육합이 선명하지 않다. 집중력이 흩어지지 않도록 오늘도 조금씩 쌓아간다. 2020. 8. 7.
[수련일기] 다시 수련 최근 많이 바빴다. 몸도 마음도... 고요함과 조화를 지키려 했지만 내가 얻은 답은 급히 달릴 때는 치우치는 것이 조화라는 것이다. 퇴근하고 태극권으로 지쳐 늘어진 몸을 추슬렀다. 아니, 몸보다 정신이 먼저 조금 추슬러졌다. 13식까지 4번을 내리 반복하고서야 막혔던 마음이 조금 가라앉았다. 역시 내 몸을 살리는 운동이다. 오늘은 힘을 작은 면적에 쓰는 법을 연습했다. 몸의 탄력을 더 키우고 탈력에 신경써야겠다. 2020. 8. 6.
[수련일기]물과 나무, 공기와 몸 1학년 검도는 1시간동안 밀어걷기에 머리치기를 했다. 검을 들고 장난을 계속 쳐서 정신수양을 위한 시간을 좀 보냈다. 잔소리라고만 느끼는 사람이 있을 것이지만 그 중 한 사람이라도 자기를 돌아보는 사람이 있다면 성공한 것이다. 다음주는 학생들과 목검으로 종이베기를 하려고 검도시간이 마치기 전에 검으로 장난을 치는 것에 대해서 더 엄중하게 주의를 주었다. 최근 태극권 수련이 지지부진하다. 청경은 생활속에서 항상 수련하려고 하지만 명경으로 형태로써 몸이 쓰는 힘을 키우는 것은 시간이 점점 적어진다. 뼈와 근육의 강도도 점점 떨어지고 있다. 발뒤꿈치의 통증은 종아리 근육과 발바닥근육이 많이 수축했다는 것을 알려준다. 날씨가 몸을 수축시키고 있다. 중간중간 이완시켜주는 것만으로는 더 나아지기가 힘들다. 다른 방.. 2020. 7. 27.
[수련일기] 내려베기 3학년 검도는 목검을 써서 신경이 날카롭게 서있었다. 목검은 죽도와는 달리 장난이라도 크게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몸은 성인에 근접할 정도로 거의 성장이 끝난 학생들이기 때문에 더 그러했다. 목검으로 신문지베기를 했는데 아직 기검체를 일치시키지 못해서 잘 자르지 못했다. 그와중에 위험하게 장난치며 휘두르려는 학생이 있어서 계속 주의시켰다. 위험하다는 걸 계속 인지시켜도 자신도 알고 있으니 걱정말라고 하는 것은 사실 그 본인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종이베기는 당분간 몇 사람만 정해서 하는 것으로 진행 해야겠다. 인사, 허리검, 뽑아검, 중단, 머리치기(머리를 쳐), 내려베기 쉬어검, 넣어검, 인사 검도의 모든 배움은 인사로 시작해서 인사로 끝난다. 예를 잊지 않기 위해서이다. 위험한 검을.. 2020. 7.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