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움직임을 수련할 때는 심기체心氣體의 합을 중요시 한다. 심기체가 하나되지 않고 흩어지면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정도의 힘이, 온전히 전달될 수 없다.
심心은 마음을 말하는 것으로 보통은 마음에 있는 망설임을 말한다. 기氣는 힘과 전달점(목표)에 대응한 힘의 통제를 말하는 것이다. 체體는 몸의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전달점에 대응하는 몸의 상태와 구조를 말한다.
이 중 어느 하나라도 넘치거나 모자라면 힘이 의도대로 한 점에 집중되지 못하거나, 면에 고루퍼져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조절이 흩어져 몸이 떨리거나, 목표가 아닌 몸이 상하거나, 스스로 중심이 무너지는 지경에 이를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체體’는 병사요, ‘기氣’는 명령체계와 그 실제로, ‘심心’은 군사 혹은 장수다. 군사의 명령을 체계에 따라 전달받아 실행하는 것이 올바르게 진행되는 것이 정석이다. 상황에 따라 급변, 응변하는 것이 ‘임기응변’의 묘리다. 병사는 오판하면 혼자 죽으나, 군사가 오판하면 군대가 멸滅한다. 그 법의 오묘함을 이해한다면 심, 기, 체의 관계를 조율할 수 있을 것이다.
'心' es como un general. '氣' es un sistema de comando. '體' es como un soldado.
Estos tres deben cooperar en todo momento.
Si un soldado piensa mal, muere solo. Pero si el general piensa mal, todos mueren.
'태극권연구 Teoría del Taichi > 이론연구편 Teorí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연구편] 구체적으로 어떻게 단련하는가? ¿Cómo practica específicamente? (0) | 2020.01.12 |
---|---|
[이론연구편] 무엇을 단련하는 것인가? ¿Que practica? (6) | 2020.01.05 |
[이론연구편]심기체心氣體란 무엇인가? ¿Qué es 心氣體? (8) | 2019.12.28 |
[이론연구편]정기신精氣神이 무엇인가? ¿Qué es 精氣神? (0) | 2019.12.22 |
[이론연구편]연습하는 순서가 있는가? ¿Hay una orden para practicar? (0) | 2019.12.15 |
[이론연구편]태극을 수련하는 목적은? Propósito de practicar Taichi (2) | 2019.12.07 |
포스팅잘보고 갑니다
즐거운 주말되세요^^
답글
제 게시물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평안한 주말 보내세요!^^
아 심기체 아주 심오한 뜻과 의미가 가득 담겨져 있어요. 우리 몸의 기가 중요하다는 이야기 들었네요.
답글
몸과 마음을 연결해주는 명령체계지요ㅎㅎ
운동을 하거나, 한(중)의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좀 어려운 말로 공부하는 거예요. 그냥 쉽게 생각하시면 생각을 집중해서 몸을 움직이는 겁니다.^^
학익진처럼 보이는 군대 행렬 모습이군요. 잘 읽었습니다.
답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장군과 군대의 명령체계를 설명하려다보니 쓴 그림입니다.ㅎㅎ
남은 주말도 즐겁게 보내시길!^^
군행열 모습이군요..
심, 기, 체의 관계를 잘보고 갑니다.^^
답글
네. 심기체의 설명을 군대에 비유했습니다.
이렇게 이해하면 좀 더 쉽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