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교육3 [교육]교육 순서에 대한 생각 지금까지 교육을 하면서 생각이 드는 자녀 교육의 순위, 순서가 있다.반드시 이렇게 교육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교육하면 좋겠다는 방향이 선다.1.기본 생활교육-몸의 발달에 따른 기능의 발현과 인지에 대한 교육(경제교육이 생활습관으로 잡히도록 구성된다.)2.(인지)참여권, 저항권 교육(자신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교육이다.)3.지식교육의 순서-철학 / 언어학과 수사학(문해력교육)-수학과 과학(기초 의학)-재능에 따른 각 분야의 학문이나 지식, 기능을 익히게 한다. 이러한 순서는 '주인'을 위한 교육을 위해서 있다.인생의 주인으로 살게 하기 위한 교육이다.비판의식이 있는 인간, 타인이 뭐라하든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잘하는지 알고 그 길을 따라가도록 한다.남과 비교하고 스스로를 비난하지 않도록 .. 2025. 1. 8. [교육]비폭력 저항 교육(저항권, 사회권 교육에 대한 생각) 간디학교같은 대안교육기관의 기저 교육목표는 저항권과 사회권을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본다. 교육과정의 표면에서는 저항권, 사회권에 대한 교육내용이 보이지 않는다. 교육과정, 학사일정과 시간표에 녹여내어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습득하도록 한다. 지식으로만 익히는 것이 아니라 체화하여 삶에서 살아낼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교육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모른다. 시민의 가장 기본적 소양인 연대와 협력을 위한 관계맺기에 대한 구조가 존재하는 것을 모른다. 자신이 삶의 주인으로 살 수 있도록 가르치고 훈련하는 것을 모른다. 공교육에서는 이러한 대안교육의 '껍데기'를 많이들 베껴갔다. 그저 학교가 재미있어지고, 관계가 좋아지는 정도의 효과를 생각한 것 같다. 하지만 이 교육의 원형은 .. 2024. 9. 8. [교육](고등학교)부모님들께 드리는 글. 안녕하십니까. 오늘 자리는 고등학교 학부모님들이 모여서 학교의 교육과 발전상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라고 알고 왔습니다. 어떤 이야기가 나올지는 모르지만, 제가 여러분들과 나누고 싶은 이야기는 '학생들의 생활과 교육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크게 지식교육과 생활교육으로 나눠볼 수 있겠습니다. 학교의 지식교육은 교육부에서 인가한 지식에 대한 전수가 기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수능을 치를 때의 과목에 준한 내용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이 교과목에 대한 지식을 전수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하고,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이 이뤄지도록 하고, 어느 정도까지 익혔는지 학생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가를 하는 것이 학교의 지식교육입니다. 이 점은 대부분의 학교들에서 힘쓰고 있고 대부분 .. 2022. 8.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