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단금6 [수련일기] 정좌 내가 무릎을 꿇고 앉아서 허리를 세우는 정좌를 하면 신기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아마 이 자세가 무릎이 아프거나, 허벅지 근육이 당기거나, 무게 중심이 잘 맞지 않아 쏠리는 느낌이 들어서 일 것이다. 하지만 정좌를 바르게 하고 앉아보면 조금 다른 생각을 하게 된다. 좌식 문화를 가진 문명에서 양반다리(?)라고 부르는 정좌는 코어라 불리는 복근과 배근이 부족하면 통증을 유발하기 쉽다. 개인적으로는 몸이 따뜻하면 양반다리 정좌로 앉고, 몸이 차면 무릎을 꿇은 정좌를 한다. 허리가 바로 서면 근육이 뼈를 바로 잡아 큰 부담이 없다. 몸이 따뜻하면 근육이 제 기능을 다 하고, 몸이 차면 다 하기가 어렵다. 항상 몸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날씨가 궂은 날은 수련을 하지 않도록 한다. 날씨의 정도에 따라 몸을 .. 2023. 2. 28. [수련일기]팔단금 5단계 요두파미거심화, 육자결 역근경, 오금희, 육자결과 나란히 중국의 대표적인 기공으로 인정받은 팔단금을 수련하고 있다. 오늘 살펴볼 요두파미거심화는 머리를 크게 돌려 심화를 내보내는 동작이다. 머리와 맞은편에 있는 몸의 중심인 엉덩이, 꼬리뼈 부분이 함께 크게 돌려 움직여지며 스트레스가 풀리는 동작이다. 발을 어깨보다 넓게 벌려서 무릎을 구부려서 선다. 이때 발끝이 살짝 바깥으로 향하는 것이 동작을 하는데 편하다. 상체는 허리를 세워서 바로 서도록 한다. 무릎 위에 손을 얹어서 살짝 누르는 자세를 취한다. 왼쪽부터 왼쪽 팔꿈치가 무릎에 닿도록 상체를 왼쪽으로 기울여 몸을 옆으로 구부리고, 허리를 세운 채로 오른쪽 어깨를 아래로 돌려내려 몸통이 앞으로 돌아오게 한다. 머리는 오른쪽으로 엉덩이는 왼쪽으로 돌아 몸통이 돌도록 몸을 돌린.. 2022. 11. 15. [수련일기] 태극권 수업 팔단금 4단계 오노칠상왕후초五勞七傷往後瞧 팔단금은 사람의 몸을 비단처럼 질기고 부드럽고 강하게 만든다. 4단계 오노칠상왕후초五勞七傷往後瞧는 오장(심폐신간비)의 힘듦과 칠정(정신)의 손상을 몸을 틀어 뒤돌아보기를 통해 회복하는 동작이다. 어깨넓이로 발을 11자로 벌린채로 무릎을 살짝 굽히고 서서 손을 아래로 내려 몸 가운데 배쪽으로 모았던 손을 손바닥을 바깥이 보도록 돌려나간다. 엄지손가락쪽이 바깥으로 돌아가도록 손바닥을 돌려 펴면 팔이 밖으로 비틀리며 어깨와 가슴이 열린다. 동작을 해보면 숨을 크게 들이쉬는 듯한 동작이 나온다. 왼쪽 오른쪽을 번갈아가며 하는데 몸은 앞으로 향해있으면서 동작을 하고 숨을 들이쉬며 고개를 좌우 번갈아가며 뒤쪽을 보도록 돌린다. 가슴이 펴지고 내장이 자극되어 오장이 쉬게되고, 고개가 돌아가며 척추와 연수가 자극되어 .. 2022. 10. 9. [수련일기] 태극권 수업 팔단금 3단계 조리비위비단거 사람의 몸을 비단같이 부드럽고 질기고 튼튼하게 만드는 8단계가 있다. 조리비위비단거는 3단계 자세다. 먼저 어깨넓이만큼 다리를 벌려서서 무릎을 살짝 굽히고 손을 단전 앞에서 아래로 모은다. 그 다음 무릎을 천천히 펴면서 양 손을 배꼽까지 들며 숨을 마신다. 숨을 내쉬며 왼손을 위로 손끝이 머리 쪽을 향하도록 손바닥을 들어올리고 오른손을 아래로 손끝이 앞으로 향하도록 손바닥을 내린다. 동작을 반대로 행하는 것까지가 1번이다. 이 동작 이름에는 비위를 다스린다는 설명이 있다. 어떤 기전으로 동작이 비위에 영향을 주는지 지금 내 실력으로는 아직 설명이 불가능하다. 수련해 가면서 점점 더 몸에 대해 알아가야겠다. 2022. 9. 24. [수련일기] 태극권 수업 팔단금 2단계 좌우개궁사사조(좌우만궁거심화) 사람의 몸을 비단같이 부드럽고 질기고 튼튼하게 만드는 8단계가 있다. 팔단금을 배워서 꾸준히 해봐야겠다. 2단계는 좌우개궁사사조左右開弓似射雕(좌우만궁거심화)이다. 왼쪽 오른쪽으로 활을 당겨 독수리에 활을 쏘는 듯한 자세다. 먼저 어깨넓이 보다 조금 더 다리를 벌려서서 마보를 서듯 무릎을 굽히고 하체 근육을 당긴다. 손을 가슴 앞에서 교차하는데 활을 잡는 손이 바깥으로 향한다. 활을 잡은 손을 뻗어 제 위치에 두고, 반대편 손을 화살을 잡아 당기듯 당긴다. 호흡 또한 활시위를 잡을 때와 같이 당길 때 들이쉬고 멈췄다가 화살을 든 손을 놓는 동작에 내쉬면 된다. 반대편으로도 동작을 반복한다. 큰 숨을 고르는데 좋은 동작인 것같다. 하고 나면 등쪽 승모근, 광배근이 당기고 하체가 안정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2022. 9. 20. [수련일기] 태극권 수업 팔단금 1단계 양수탁천리삼초(쌍장탁천리삼초) 팔단금은 몸을 비단처럼 부드럽고 질기고 튼튼하게 만드는 8단계의 방법이다. 1단계는 양수탁천리삼초兩手托天理三焦(쌍장탁천리삼초)이다. 양손으로 하늘을 받치는 모양을 하는데 삼초(상초, 중초, 하초)를 다스리는데 유용하다. 참장 자세에서 자연스럽게 팔을 내리며 손을 깍지낀다. 서서히 일어나며 손바닥을 바깥으로 돌려 팔을 위로 뻗는다. 고개를 위로 들고 숨을 들이쉬며 팔을 끝까지 위로 뻗는다. 숨을 멈추고 고개를 정면으로 내려보고 숨을 내쉬면서 팔을 내리고 손깍지를 푼다. 삼초는 상, 중, 하초를 말한다. 기와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영양물질 생성과 수분의 순환을 담당한다. 목구멍에서 위까지 상초(폐, 심장, 심포 위 분문에서 위 유문까지=횡경막 아래에서 배꼽까지 중초(비, 위, 옛 의서에는 간 포함) 위 유.. 2022. 9. 13. 이전 1 다음